2009년 10월 30일 금요일

Impasse

1 a : a predicament affording no obvious escape b : deadlock
2 : an impassable road or way : cul-de-sac

교착상태, 막다른 골목, 난국

For a long time we lived in the illusion that "everything would come out all right", but inevitably we arrived at the impasse where we had to face realities and make painful decisions.
오랫동안 우리는 "모든 일이 잘 되어가리라"는 환상에서 살았지만 피할 수 없이 우리는 현실에 직면해서 어려운 결단을 내려야 할 막다른 골목에 이르렀다.
--------------------------------------------------------------------------------

In this impasse, all turned to prayer as their last hope.
이 난국에서 모든 사람들은 그들의 마지막 희망으로써 기도에 매달렸다.

Abduction and Design

Abduction, or "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 is a form of inference that moves from data describing something to a hypothesis that best explains or accounts for the data.

In engineering design contexts, this process can result in reasoning such as the following:

artefact x must not corrode (premise)
IF an artefact is made of stainless steel,
THEN the artefact will not corrode (rule)
(infer): artefact x should be made of stainless steel (conclusion)

Here, the combination of rule (from the knowledge of the designer) and premise (some element of the design specification) allow a design decision to be made.

Just as deduction may be viewed as an analytical process, abduction, the "reverse deduction", is synthetic - it produces knowledge (in this example, the knowledge that the artefacts should be made of stainless steel has been produced - a design decision). While this shares the same structure as the fallacious "deductive" model of conceptual design, the difference here is that, logically, this is not necessarily a sound argument - if it is also known that the artefact should not conduct electricity, it might be better to abduce that the artefact should be made of a plastic. This is a more plausible "explanation" of the behaviour of the artefact, based on the available evidence - abduction is plausible inference.

Instantiate

: to represent (an abstraction) by a concrete instance

vt. <학설 등을> 예를 들어 설명하다, 예시하다

2009년 10월 29일 목요일

Laissez-faire

(경제상의) 자유 방임 주의, 불간섭주의

Enclave

고립된 지역; 자국 내에 들어 있는 타국의 영토
(타국 영토로 둘러싸인) 지역, 영토

The stubborn old-timers who refused to sell their homes came to form an enclave of "natives" surrounded by "city people".
집을 팔기를 거부했던 완고한 구식사람들은 "도시인"들로 둘러싸인 "원주민"들의 영역을 형성하게 되었다.
--------------------------------------------------------------------------------

The Vatican is an independent enclave in Italy.
바티칸은 이탈리아에 둘러싸인 독립된 영토다.

Cede

<권리를> 양도하다;<영토를> 할양하다, 인도(引渡)하다;양보하다
《cede+목+전+명》 cede territory to …에 영토를 할양하다

2009년 10월 28일 수요일

Cross pollination

타화수분의 본 뜻은 꽃의 가루를 받아 수정한다는 뜻이다. 이노베이션 도구로서 ‘타화수분’은, 현재 사업 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좋은 아이디어를 차용해 와서 혁신적 아이디어로 연결시키는 것을 뜻한다. 즉 타화수분은 전혀 연관이 없는 이종 산업 등에서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창의적 방법론이다.

서로 다른 영역의 것이 섞인다 하여 흔히 ‘이종교배’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고 요즘 유행하는 ‘하이브리드’,‘융합’,‘크로스오버’등과 같은 말과도 통하는 것이다.

물감튜브의 모양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치약 튜브를 만든 것이나, 접착재인 본드에서 자동차 충격흡수제의 힌트를 얻은 것 등이 바로 타화수분에 해당한다.

Left field

비정형적이고 낯선 것

Cross-dresser

전공변경자

Cross-dressing: the wearing of clothes designed for the opposite sex

Iconoclast

우상파괴자
1 : a person who destroys religious images or opposes their veneration
2 : a person who attacks settled beliefs or institutions

Demography

인구 통계학

Forerunner

선구자, 전조, 선인, 선조

Polymath

박학다식한 사람

Architecture

1 건축(술), 건축학
civil architecture 보통 건축 《주택·공공 건축 등》
ecclesiastical architecture 사원 건축
military architecture 【군사】 축성법
naval[marine] architecture 조선학[술]
2 [U.C] 건축 양식
Gothic architecture 고딕 건축 양식
3 [보통 the architecture] 구조, 구성(construction)
the architecture of a novel 소설의 구성
4 [the architecture;집합적] 건축물
5【컴퓨터】 아키텍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시스템의 구조[구성]》

Epistemic

지식의, 인식의

: of or relating to knowledge or knowing : cognitive

Cognition

The term cognition (Latin: cognoscere, "to know" or "to recognize") refers to a faculty for the processing of information, applying knowledge, and changing preferences. Cognition, or cognitive processes, can be natural or artificial, conscious or unconscious. These processes are analyz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within different contexts, notably in the fields of linguistics, anesthesia, neurology, psychology, philosophy, systemics and computer science. Within psychology or philosophy, the concept of cognition is closely related to abstract concepts such as mind, reasoning, perception, intelligence, learning, and many others that describe capabilities of the mind and expected properties of an artificial or synthetic “mind”. Cognition is considered an abstract property of advanced living organisms and is studied as a direct property of a brain (or of an abstract mind) on at the factual and symbolic levels.

In psychology and in artificial intelligence, cognition is used to refer to the mental functions, mental processes (thoughts) and states of intelligent entities (humans, human organizations, highly autonomous machines). In particular, the field focuses toward the study of specific mental processes such as comprehension, inference, decision-making, planning and learning (see also cognitive science and cognitivism). Recently, advanced cognitive research has been especially focused on the capacities of abstraction, generalization, concretization/specialization and meta-reasoning. This involves such concepts as beliefs, knowledge, desires, preferences and intentions of intelligent individuals, objects, agents or systems.

Faculty

능력, 재능, 기능, 수완,
학부, 학부의 교수단, 대학고교의 전교직원, 직원회의, 동업자 단체

2009년 10월 27일 화요일

Autonomy

자치, 자치권, 자주권, 자치제

1 : the quality or state of being self-governing; especially : the right of self-government
2 : self-directing freedom and especially moral independence
3 : a self-governing state

Axiology

가치론

Axiology is the study of quality or value. It is often taken to include ethics and aesthetics — philosophical fields that depend crucially on notions of value — and sometimes it is held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se fields, and thus to be similar to value theory and meta-ethics. The term was first used in the early 20th century by Paul Lapie, in 1902, and E. von Hartmann, in 1908.

2009년 10월 26일 월요일

Repertory Grid Technique

http://www.uxmatters.com/mt/archives/2007/12/the-repertory-grid-eliciting-user-experience-comparisons-in-the-customers-voice.php

Repertory

1 : a place where something may be found : repository
2 a : repertoire b : a company that presents several different plays, operas, or pieces usually alternately in the course of a season at one theater c : a theater housing such a company
3 : the production and presentation of plays by a repertory company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1959년 미국의 심리학자 찰스 오스굿이 고안한, 개념의 의미내용을 분석하는 방법.

의미분화법, 또는 의미미분법이라고도 번역된다. 일반적으로는 크다-작다, 아름답다-추하다와 같이 상반되는 의미를 짝지은 '평정척도'를 10~50개를 사용하여 어떤 '개념', 이를테면 백두산이라고 하는 말이 우리의 뇌리에 연상시키는 내용을 그 강도에 따라 평정케한다.

백두산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대단히 크고, 대단히 아름답다라고 하는 평점이 주어지는데, 이 평점의 프로필이 '백두산'이라고 하는 개념의 의미내용을 분석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문제는 평점척도의 선택방법인데, 오스굿 등은 좋다-나쁘다로 대표되는 평가, 크다-작다로 대표되는 역량, 활발함-활발치 않음으로 대표되는 활동성의 3차원이 가장 중요하다고 한다.

그들은 이방법을 사용하여 정치상의 지도자들이 일반대중에게 어뻔 '의미'로 받아들여지는가를 분석하려고 하였으며, 평정대상은 반드시 언어적 개념이 아니라도 된다. 미술작품이 우리에게 주는 인상의 분석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어쨌든 계량언어학이라든가 언어심리학이라고 불리는 연구영역에서의 유력한 방법의 하나이다.

Operational Definition

An operational definition is a demonstration of a process – such as a variable, term, or object – in terms of the specific process or set of validation tests used to determine its presence and quantity. The term was coined by Percy Williams Bridgman (see Operationalization). Properties described in this manner must be sufficiently accessible, so that persons other than the definer may independently measure or test for them at will.[citation needed] An operational definition is generally designed to model a conceptual definition. The most operational definition is a process for identification of an object by distinguishing it from its background of empirical experience. The binary version produces either the result that the object exists, or that it doesn't, in the experiential field to which it is applied. The classifier version results in discrimination between what is part of the object and what is not part of it. This is also discussed in terms of semantics, pattern recognition, and operational techniques, such as regression.

For example, the weight of an object may be operationally defined in terms of the specific steps of putting an object on a weighing scale. The weight is whatever results from following the measurement procedure, which can in principle be repeated by anyone. It is intentionally not defined in terms of some intrinsic or private essence.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weight is just the result of what happens when the defined procedure is followed. In other words, what's being defined is how to measure weight for any arbitrary object, and only incidentally the weight of a given object.

Operationalize means to put into operation. Operational definitions are also used to define system states in terms of a specific, publicly accessible process of preparation or validation testing, which is repeatable at will. For example, 100 degrees Celsius may be crudely defined by describing the process of heating water until it is observed to boil. An item like a brick, or even a photograph of a brick, may be defined in terms of how it can be made. Likewise, iron may be defined in terms of the results of testing or measuring it in particular ways.

One simple, every day illustration of an operational definition is defining a cake in terms of how it is prepared and baked (i.e., its recipe is an operational definition). Similarly, the saying, if it walks like a duck and quacks like a duck, it must be some kind of duck, may be regarded as involving a sort of measurement process or set of tests (see duck test).

Address

1a <…에게> 말을 걸다;<청중에게> 연설[강연]하다
address an audience 청중에게 연설[강연, 설법]하다
b <…을 …이라고> 부르다;(정식 호칭이나 올바른 경칭을 써서) <…을 …이라고> 부르다
《address+목+부》 How should one address the Mayor? 시장은 어떻게[어떠한 경칭으로] 불러야 합니까?
《address+목+as 보》 address a person as ‘General’ …을 「장군」으로 호칭하다
2a <편지·소포 등의 겉봉에> 주소(성명)을 쓰다;<편지·소포 등을> …앞으로 하다 《to》
《address+목+전+명》 address a letter to a person …앞으로 편지를 하다
b【컴퓨터】 <데이터를> 어드레스 지정하다(cf. n. 2)
3 <항의 등을> 제기하다, 제출하다, 신청[청원, 건의]하다 《to》
《address+목+전+명》 address a protest to a person …에게 항의를 제기하다
address to a governor a plea for clemency 주지사에게 자비를 탄원하다 《목적어가 후치된 것》
address a message to Congress 《미》 <대통령이> 의회에 교서를 보내다
4 <사물에> 초점을 맞추다;<어려운 문제 등을> 다루다, 처리하다, (본격적으로) 착수하다
5【골프】 <공을> 칠 자세를 취하다
address the ball 공을 향해 칠 자세를 취하다
6【상업】 <배 등을> 탁송하다, 위탁하다 《to》

2009년 10월 25일 일요일

Hedonism

Hedonism is a school of ethics which argues that pleasure has an ultimate importance, and that humanity's most important pursuit is sensual self-indulgence.

The basic idea behind hedonistic thought is that pleasure is the only thing that is good for a person. This is often used as a justification for evaluating actions in terms of how much pleasure and how little pain (i.e. suffering) they produce. In very simple terms, a hedonist strives to maximize this net pleasure (pleasure minus pain).

Advent

1 [the advent] (중요한 인물·사건의) 출현, 도래 《of》
2 [Advent] 그리스도의 강림;강림절 《크리스마스 전 약 4주일간》
3 [Advent] 그리스도의 재림(Second Coming)

Reductionism

Reductionism can either mean (a) an approach to understand the nature of complex things by reducing them to the interactions of their parts, or to simpler or more fundamental things or (b) a philosophical position that a complex system is nothing but the sum of its parts, and that an account of it can be reduced to accounts of individual constituents.

n.【생물】 환원주의 《생명 현상은 물리학적·화학적으로 모두 설명된다고 주장》;【논리】 환원주의;《경멸》 지나친 단순화 (지향)

2009년 10월 22일 목요일

Granularity

Granularity is the extent to which a system is broken down into small parts, either the system itself or its description or observation. It is the "extent to which a larger entity is subdivided. For example, a yard broken into inches has finer granularity than a yard broken into feet."[1]

Coarse-grained systems consist of fewer, larger components than fine-grained systems; a coarse-grained description of a system regards large subcomponents while a fine-grained description regards smaller components of which the larger ones are composed.

The terms granularity, coarse and fine are relative, used when comparing systems or descriptions of systems. An example of increasingly fine granularity: a list of nations in the United Nations, a list of all states/provinces in those nations, a list of all counties in those states, etc.

Design statement

A part of design brief that challenges the designer, describes what a design solution should do without describing how to solve the problem, and identifies the degree to which the solution must be executed.

Situated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gnitive science, the term situated refers to an agent which is embedded in an environment. The term situated is commonly used to refer to robots, but some researchers argue that software agents can also be situated if:

they exist in a dynamic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which
they can manipulate or change through their actions, and which
they can sense or perceive.
Examples might include web-based agents, which can alter data or trigger processes (such as purchases) over the internet, or virtual-reality bots which inhabit and change virtual worlds, such as Second Life.

Being situated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part of being embodied, but it is useful to consider each perspective individually. The situated perspective emphasizes that intelligent behaviour derives from the environment and the agent's interactions with it. The nature of these interactions are defined by an agent's embodiment.

Heuristic

: involving or serving as an aid to learning, discovery, or problem-solving by experimental and especially trial-and-error methods a heuristic assumption; also : of or relating to exploratory problem-solving techniques that utilize self-educating techniques (as the evaluation of feedback) to improve performance

휴리스틱 기법(heuristic)은 한정된 시간 내에 수행하기 위해 최적의 해 대신 현실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의 해를 구하는 방법이다.

이 기법은 수학적으로 증명하기 힘든 단점이 있지만 대신 한정된 수행 시간 내에 적절한 해답을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의사를 결정하려면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정보의 부족과 시간제약으로 완벽한 의사결정을 할 수 없다. 제한된 정보와 시간제약을 고려해 실무상 실현 가능한 해답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휴리스틱 접근법이다. 휴리스틱 접근법은 가장 이상적인 방법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의 해답을 찾는 것이다. 모든 변수와 조건을 검토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문제가 있을 때 그 문제를 푸는 방법이 아직 없거나 현실적으로 불가능 할 때, 혹은 문제를 풀기 위한 정보가 완전히 주어지지 않을 때, 확립된 절차에 따라 답을 구할 수 있을 정도로 문제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았을 때 Heuristic기법이 사용 가능하다.

Heuristic 기법에서는 경험이나 직관을 사용하거나 노력을 기울여 시행착오를 거쳐 충분히 효율적인 해답이나 지식을 얻게 된다. 예를 들어 '좋은 소프트웨어 설계를 하라'는 말처럼 명확한 답이 없는 문제를 경험, 직관, 시행착오를 통해 점점 만족스러운 설계로 발전시키는 과정을 휴리스틱이라 볼 수 있다.

메타 휴리스틱(Meta-Heuristic) [편집]
Heuristic 기법의 연구는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마다 각기 그 특성에 맞추어 개발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특정문제가 갖는 정보에 크게 구속되지 않고 다양한 문제에 적용가능한 상위수준의 발견적 기법, 즉 메타휴리스틱이 사용된다.

메타 휴리스틱 기법에는 Genetic Algorithm, Simulated Annealing, TABU search가 있다. 이들 기법들은 각기 다른 특성이 있지만, 공통점은 개념과 이론이 단순하고 해공간의 탐색성능이 우수하여 공학, 자연과학 뿐만 아니라 경영학, 사회과학 등의 최적화 분야 또는 의사결정분야에 응용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들 기법들은 각기 독립적으로 여러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기법의 단점을 상호보완하면서 장점을 결합하여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전알고리즘의 해공간의 탐색능력과 타부서치의 국부최적(Local optimum) 탐색능력의 강점의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해법들은 조합최적화문제로 해석되는 현실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영역으로부터 아이디어를 얻은 결과이다. 유전알고리즘은 자연의 진화과정과 유전법칙을 모방하였고, 시뮬레이티드 어닐링은 금속의 표면처리 과정의 냉각과정에 기초를 두었고, 타부서치는 인간의 기억과정을 이용했다.

Univocal

1 : having one meaning only
2 : unambiguous

All in all

전부, 총계, 전체로서, 일반적으로 말하면

Glazing

1 : the action, process, or trade of fitting windows with glass
2 a : glasswork b : glaze
3 : transparent material (as glass) used for windows

glaze 유리를 끼우다,윤을내다,겉을 입히다 ,유리끼우기

Latitude

(행동, 사상 등의) 자유 허용량
위도

Climatic conditions vary considerablely in Utah, largely because
of differences in latitude and elevation.
유타주에서는 기후조건이 대단히 다양하다. 주로 위도와 고도에 있어서의
차이 때문에.

He gave his son a wide latitude in his choice of college.
그는 아들에게 대학 선택 범위를 넓게 주었다.

I think you have permitted your son too much latitude in this matter.
나는 당신이 이 문제에 관해 아들에게 너무 많은 자유를 허락했다고 생각한다.

Colloquial

colloquial 구어(체)의,일상회화의

Delineate

1 a : to indicate or represent by drawn or painted lines b : to mark the outline of
2 : to describe, portray, or set forth with accuracy or in detail

2009년 10월 20일 화요일

One-off

한번만의,1회한의것

Deduction, Induction and Abduction

Deduction, induction, and abduction

Deduction
allows deriving b as a consequence of a. In other words, deduction is the process of deriving the consequences of what is assumed. Given the truth of the assumptions, a valid deduction guarantees the truth of the conclusion. It is true by definition and is independent of sense experience. For example, if it is true (given) that the sum of the angles is 180° in all triangles, and if a certain triangle has angles of 90° and 30°, then it can be deduced that the third angle is 60°.

Induction
allows inferring a entails b from multiple instantiations of a and b at the same time. Induction is the process of inferring probable antecedents as a result of observing multiple consequents. An inductive statement requires empirical evidence for it to be true. For example, the statement 'it is snowing outside' is invalid until one looks or goes outside to see whether it is true or not. Induction requires sense experience.

Abduction
allows inferring a as an explanation of b. Because of this, abduction allows the precondition a to be inferred from the consequence b. Deduction and abduction thus differ in the direction in which a rule like “a entails b” is used for inference. As such abduction is formally equivalent to the logical fallacy affirming the consequent or Post hoc ergo propter hoc, because there are multiple possible explanations for b.

Unlike deduction and in some sense induction, abduction can produce results that are incorrect within its formal system. Hence the conclusions of abduction can only be made valid by separately checking them with a different method, either by deduction or exhaustive induction. However, it can still be useful as a heuristic, especially when something is known about the likelihood of different causes for b.

Nexus

연계, 관계, (물건, 관념등의)연쇄, 연합, 넥서스, 서술적 관계(표현)

First principle

In philosophy, a first principle is a basic, foundational proposition or assumption that cannot be deduced from any other proposition or assumption. In mathematics, first principles are referred to as axioms or postulates.

Moot

1 a : open to question : debatable b : subjected to discussion : disputed
2 : deprived of practical significance : made abstract or purely academic

moot 실질적인 의미가 없는, 실제적인 가치가 없는

It's all moot.
모두 이론에 불과해요.
moot : 미해결의, 논란의 여지가 있는, 비현실적인
It's all moot.
= It's all theory.

Progenitor

조상, 선조, 선배, 원본

Jettison

2 : to get rid of as superfluous or encumbering : omit or forgo as part of a plan or as the result of some other decision
3 : to drop from an aircraft or spacecraft in flight

Ascribe

1 <원인·동기·기원 등을> …에 돌리다(attribute);<결과 등을> …의 탓으로 돌리다(impute) 《to》;<예술 작품·공적·발명 등을> (사람·사건·시대)의 것으로 하다
《ascribe+목+전+명》 ascribe one’s failure to bad luck 실패를 불운의 탓으로 돌리다
This invention is ascribed to Mr. Kim. 이것은 김씨의 발명이라고 한다.
2 <성질·특징을> …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하다 《to》

Impetus

1 [U.C] (물체를 움직이는) 힘, 기동력, 기세;자극, 충동
2 【역학】 운동력
give[lend] (an) impetus to …에 자극을 주다, …을 촉진하다

be under impetus from;be receiving impetus from
자극을 받다

Articulate

vt.
1 음절로 나누다;<음절·단어를> 똑똑히[또렷하게] 발음하다;<생각·감정 등을> 분명하게 표현하다;<부분을> (…와) 유기적으로 연관짓다, 통합하다 《to, with》
2 <뼈를> 관절로 잇다 《to, with》

Subsistence

생존

Designing is one of the foundations for change in our society. Its genesis is the
notion that the world around us either is unsuited to our needs or can be improved.
The need for designing is driven by a society’s view that it can improve or add value
to human existence beyond simple subsistence.

2009년 10월 19일 월요일

Elicit

vt. (진리 등을 논리적으로) 도출하다, 이끌어 내다;<사실·대답·웃음 등을> 유도해 내다

Schadenfreude

남의 불행을 고소하게 여김

Aversion

1 싫음, 반감, 혐오(antipathy) 《to, for, to do》
2 싫은 것[사람] ★ 보통 다음 성구로

He began to feel aversion to hard study. (출처: 두산 동아) 현대 미국 중급 그는 힘든 공부에 진절머리가 났다 She has an aversion to eating dog meat broth. (출처: 능률교육) 현대 미국 중급 그녀는 보신탕을 먹는 것을 혐오해.

Indignant

분개한, 성난

He became very indignant at me when I said he wasn't telling the whole truth. 그가 진실을 모두 말하지 않는다고 내가 지적하자 그는 매우 분개했다.

It is natural that he should be indignant.
그가 화를 내는 것은 당연하다.

Disposition

배치, 처리, 성질, 성향, 성벽, 기질, 경향

God has the supreme disposition of all things.
신은 만물의 최고 지배권을 갖는다.
--------------------------------------------------------------------------------

Some indication of your disposition in this regard would be
very much appreciated.
귀사의 의향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is amiable disposition pleased all who had dealings with him.
그의 상냥한 성격은 그와 거래를 하는 모든 사람들을 즐겁게 했다.

Some indication of your disposition in this regard would be very much
appreciated.
이에 관한 귀사의 의향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ome indication of your disposition in this regard [이건에 관한 귀사의 견
해의 통지]

Dispose

vt.
1 <군대·물건을> 배치하다, 배열하다 《for》
《dispose+목+전+명》 dispose soldiers for the battle 병사를 전장에 배치하다
dispose books in order 책을 정돈하다
2 …할 마음이 내키게 하다 《to》(⇒ disposed 1 a)
《dispose+목+to do》 His advice disposed me to read it. 그의 조언으로 그것을 읽고 싶어졌다.
3 <사람에게> …의 경향을 갖게 하다, <사람에게> …의 영향을 받기 쉽게 하다 《to》(⇒ disposed 1b)
《dispose+목+전+명》 His physique disposes him to backache. 그는 요통을 앓기 쉬운 체격이다.
4 <사무·문제 등을> 처리하다

vi.
1 처리하다, 처치[처분]하다
2 일의 추세[성패]를 결정하다
dispose of …을 처분하다, 처리하다, …의 결말을 짓다;팔아 버리다;해치우다, 죽이다:dispose of oneself 거취를 결정하다, 처신하다
▷ dispsal, dispostion n.

Man proposes ; God disposes.
"계획은 사람이 하고, 성패는 신이 결정짓는다."

Praiseworthy

칭찬할만한, 기특한

Concern

1 관계 《with》;이해 관계(interest) 《in》
2 관심, 배려;걱정, 근심 《about, for, over》(⇒ care [유의어])
a matter of concern 관심사
《concern+to do》 Everyone has a self-centered concern to preserve himself. 누구든지 자기 보존을 위한 자기 중심적인 관심이 있다.
3 [종종 pl.] 관심사, 관여할 일
It is no concern of mine. 그건 내 알 바가 아니다.
Mind your own concerns. 네 걱정이나 해라.
4 [보통 of concern] 중요성 《to》
a matter of some[utmost] concern 다소[극히] 중요한 사건
5 영업, 사업;회사, 상사(firm);재단;재벌, 콘체른
a paying concern 수지가 맞는 장사
a going concern 영업 중인[이익을 내는] 회사;착착 진전 중인 사업
6 《구어》 (막연한) 것, 일, 사람;장치
a selfish concern 이기적인 놈
worldly concerns 세속사
The war smashed the whole concern. 전쟁으로 만사가 다 틀려버렸다.

Valence

1 : the degree of combining power of an element as shown by the number of atomic weights of a monovalent element (as hydrogen) with which the atomic weight of the element will combine or for which it can be substituted or with which it can be compared
2 a : relative capacity to unite, react, or interact (as with antigens or a biological substrate) b : the degree of attractiveness an individual, activity, or thing possesses as a behavioral goal

Emulsion

1. Emulsion or emulsion paint is a water-based paint, which is not shiny when it dries. It is used for painting walls and ceilings. 2. An emulsion is a liquid or cream which is a mixture of two or more liquids, such as oil and water, which do not naturally mix together.

Construal

Interpretation

Antecedent

앞서는, 선행의, ...보다 이전의
선례
(앞서는, 선행하는) 어떤 과정에서 일어나는 효과 이전에 존재하는, 일어나는.

Affect

affect 1. 감정, 정서 2. (병 따위가) ~을 침해하다, 영향을 미치다, 작용하다; ~을 감동시키다.

저는 겨울을 유난히 많이 타요.
Winter affects me a lot.
--------------------------------------------------------------------------------

더위를 먹었다
I was affected by the heat.
--------------------------------------------------------------------------------

과로가 나에게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다.
The strain begins to tell on (affect) me.
--------------------------------------------------------------------------------

This book has affected my thinking.
이 책은 내 사고방식에 영향을 주었읍니다.

an affecting experience 충격적인 경험
--------------------------------------------------------------------------------

She was deeply affected by the news of his death. 그녀는 그의 사망 소식에 깊은 충격을 받았다.

Affective

감정의, 감정적인

기분장애 (氣分障碍) affective disorder

계절성우울증 (季節性憂鬱症) seasonal affective disorder

Instrumental

수단이 되는, 도움이 되는

우리 아버지는 내가 오늘날 성공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끼치셨지.
My father was very instrumental in making me as successful as I am today.

여러분들의 따뜻한 조언과 지도가 있었기 때문에 이 회사가 오늘날과 같이 발
전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Your warm advice and guidance have been instrumental in making the
company what it is today.

Cursory

: rapidly and often superficially performed or produced : hasty

a cursory glance

superficial

Usability

Usability is a term used to denote the ease with which people can employ a particular tool or other human-made object in order to achieve a particular goal. Usability can also refer to the methods of measuring usability and the study of the principles behind an object's perceived efficiency or elegance.

Usability is a qualitative attribute that assesses how easy user interfaces are to use. The word "usability" also refers to methods for improving ease-of-use during the design process. Usability consultant Jakob Nielsen and computer science professor Ben Shneiderman have written (separately) about a framework of system acceptability, where usability is a part of "usefulness" and is composed of:

Learnability: How easy is it for users to accomplish basic tasks the first time they encounter the design?
Efficiency: Once users have learned the design, how quickly can they perform tasks?
Memorability: When users return to the design after a period of not using it, how easily can they re establish proficiency?
Errors: How many errors do users make, how severe are these errors, and how easily can they recover from the errors?
Satisfaction: How pleasant is it to use the design?

2009년 10월 18일 일요일

Flesh out

살을 붙이다; 구체화하다.

a : to clothe or cover with or as if with flesh; broadly : to give substance to —usually used with out

b : to make fuller or more nearly complete —used with out

Typology

Study of or analysis or classification based on types or categories

Exogenous

1 : produced by growth from superficial tissue
2 a : caused by factors (as food or a traumatic factor) or an agent (as a disease-producing organism) from outside the organism or system b : introduced from or produced outside the organism or system; specifically : not synthesized within the organism or system

Adjunct

부가물,수식어 ,부속하는

I will entertain this concept as an adjunct to the main proposal.
나는 이 개념을 주 제안에 대한 부속물로서 받아들일 것이다.

Construe

말이나 행위를. 해석하다, 분석하다

Requisite

필요한, 필수의,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 필요조건

건강은 성공의 제1의 조건이다.
Health is the first requisite for success.

Many colleges state that a student must offer three years of a language as a requisite for admission.
많은 대학들이 입학 허가를 위한 필수 조건으로 학생들에게 외국어를 3년간 했다는 것을 보이도록 했다.

Posit

1 : to dispose or set firmly : fix
2 : to assume or affirm the existence of : postulate
3 : to propose as an explanation : suggest

Design exists because the world around us does not suit us and the goal of designers is to change the world through the creation of artefacts. They do this by positing functions to be achieved and producing descriptions of artefacts capable of generating those functions. In this sense, design is the opposite of the traditional scientific explanation.

Situated

1 : having a site, situation, or location : located
2 : provided with money or possessions

Apogee

최고점, 정상, 원지점

When the moon in its orbit is furthest away from the earth, it is at its apogee.
궤도에서 달이 지구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때 달은 원지점에 있는 것이 된다.

Ronald Reagan reached an apogee oh his political career when he was inaugurated as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Ronald Reagan은 그가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했을 때 정치 경력의 정상에 올랐다.

Operationalize

vt. 조작(운용)할 수 있게 하다.

Phenotype & Genotype

Genotype: all or part of the genetic constitution of an individual or group
Phenotype: the observable properties of an organism that are produced by the interaction of the genotype and the environment

Overt

1 <증거 등이> 명백한, 공공연한(opp. covert)
a market overt 공개 시장
2 <지갑 등이> 열린
3 (문장(紋章)에서) <새가> 날개를 펼친
4【법】 행동으로 나타난
an overt act 외적 행위, 현시(顯示) 행위

An overt action or attitude is done or shown in an open and obvious way.

So far, there haven't been any overt[obvious] changes. (출처: 두산 동아) 현대 미국 중급 지금까지는 표면화된 변화는 없다

Emergent

A property that is only implicit, i.e. not represented explicitly, is said to be an emergent property if it can be made explicit.

agitate

transitive verb
1 a obsolete : to give motion to b : to move with an irregular, rapid, or violent action
2 : to excite and often trouble the mind or feelings of : disturb
3 a : to discuss excitedly and earnestly b : to stir up public discussion of
intransitive verb
: to attempt to arouse public feeling

agitator : 선동가, 정치운동가

agitator: one that agitates: as a : one who stirs up public feeling on controversial issues b : a device or an apparatus for stirring or shaking

Confluence

1 : a coming or flowing together, meeting, or gathering at one point
a happy confluence of weather and scenery
2 a : the flowing together of two or more streams b : the place of meeting of two streams c : the combined stream formed by conjunction

Ontology

존재론, 실체론

Ontology deals with questions about ultimate nature of things.
존재론은 사물의 궁극적인 성질에 관한 문제를 다룬다.

Ontology (from the Greek ὄν, genitive ὄντος: of being (neuter participle of εἶναι: to be) and -λογία, -logia: science, study, theory) is the philosophical study of the nature of being, existence or reality in general, as well as of the basic categories of being and their relations. Traditionally listed as a part of the major branch of philosophy known as metaphysics, ontology deals with questions concerning what entities exist or can be said to exist, and how such entities can be grouped, related within a hierarchy, and subdivided according to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Phenomenology

The term phenomenology in science is used to describe a body of knowledge which relates empirical observations of phenomena to each other, in a way which is consistent with fundamental theory, but is not directly derived from theory. For example, we find the following definition in the Concise Dictionary of Physics:

Phenomenological Theory. A theory which expresses mathematically the results of observed phenomena without paying detailed attention to their fundamental significance.[1]

In psychology, phenomenology is used to refer to subjective experiences or their study.


현상학, 순수한 체험의 탐구


20세기 초 유럽 현대철학은 크게 두 가지 사조로 출발했다. 하나는 훗설(Edmund Husserl)에서 비롯하는 현상학이고, 다른 하나는 프레게가 정초한 논리철학적 전통이었다. 사실 훗설과 프레게는 모두 수학자로 였으며, 해결하고자 고심했던 문제가 철학의 본질에 관한 물음이었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그러나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은 서로 아주 달랐다. 다시 말해, 20세기 현대철학의 주요 갈래는 방법론의 차이에서 비롯한 것이다. 또 다른 공통점은 이후 20세기가 끝날 때까지 현대철학의 발전에 이들의 사상이 매우 큰 영향을 지속적으로 미쳤다는 점일 것이다. 이번에는 먼저 이 가운데 훗설의 사상을 소개한다.
훗설은 초기에 심리주의적 이론을 제창했다가 후기 들어 이를 선험적 현상학으로 발전시킨다. 초기의 심리주의적 단계에서 벌써 그는 프레게의 논리적 시각과 큰 차이를 드러내 둘간의 이론적 결별이 이루어진다. 현상학이란 원래 고대 희랍어로 ‘현상(Phainomai)’이란 말과 ‘이성(logos)’이 결합해 만들어진 용어다. 이 말을 만든 장본인은 훗설보다 한 세기 앞서 살아간 독일 철학자 헤겔이었다. 헤겔은 1807년에 발간된 그의 주저에 ‘정신현상학’이란 제목을 붙였다. 여기서 헤겔은 어떻게 우리의 의식이 가장 낮고 단순한 형태에서부터 고도로 발전한 보편적인 형식으로까지 발전해 나가는가를 의식에 나타나는 순수 경험을 추적하는 형태로 기술했다.

따라서 현상학이란 말의 어원을 종합적으로 음미하면 대략 이런 내용일 것이다. ‘우리가 이해하는 모든 것은 어떤 일정한 체험 안에 나타난다. 따라서 체험하지 않은 나타남(현상)은 없다. 그래서 현상학의 목적은 체험의 탐구다. 그런데 이 체험의 탐구에서도 본질적인 층에 대한 이해와 그렇지 못한 것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체험이란 순수할 수도 있지만, 타성이나 편견에 의해 무의식적으로 조작된 경우도 있고 개인의 주관적 성향에 따라 훼절된 경우도 많다. 그래서 이런 경험적 체험의 상대성과 주관성에서 벗어나 모두에게 보편화될 수 있는 체험의 순수한 층, 곧 순수 현상의 이치를 밝히는 것이 현상학의 목적이다.’ 훗설 이후 현상학이 발전해 나감에 따라 그 본질적 과제와 목표에 대한 이해도 많이 변해 가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현상학이 이렇게 체험의 영역을 탐구한다는 점이다. 대진대 교수

Teleology

Teleology (Greek: telos: end, purpose) is the philosophical study of design and purpose. A teleological school of thought is one that holds all things to be designed for or directed toward a final result, that there is an inherent purpose or final cause for all that exists.

As a school of thought it can be contrasted with metaphysical naturalism, which views nature as having no design or purpose. Teleology would say that a person has eyes because he has the need of sight, while naturalism would say that a person has sight because he has eyes.

In European philosophy, teleology may be identified with Aristotelianism and the scholastic tradition. Most theology presupposes a teleology:[1] Design in nature can be used as a teleological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God. Aristotle's analysis of four causes speaks of a material cause, efficient cause, and formal cause but all these serve a final cause.

Incongruous

1 조화하지 않는;어울리지 않는
incongruous colors 부조화한 색
2 모순된, 부조리한, 앞뒤가 맞지 않는 《with, to》
an incongruous alibi 앞뒤가 맞지 않는 알리바이

: lacking congruity: as a : not harmonious : incompatible b : not conforming : disagreeing c : inconsistent within itself d : lacking propriety : unsuitable

Schema

A schema is an outline of a plan or theory.

Putative

a. 추정의, 추정되고 있는, 소문에 들리는
her putative father 그녀의 추정상의 아버지

1 : commonly accepted or supposed
2 : assumed to exist or to have existed

2009년 10월 15일 목요일

Lexical

사전의,어휘의

: of or relating to words or the vocabulary of a language as distinguished from its grammar and construction

2009년 10월 14일 수요일

Designate

가리키다, 명명하다, 지명하다, 임명하다

designated hitter (야구)지명 대타자

designated 지정된, 관선의

Remanufacture

최근 전 세계적으로 자원고갈 문제와 환경오염 문제가 서로 맞물리면서 각 국별로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수출입 교역에서 각종 환경규제와 같은 비관세 장벽을 통해 환경오염 예방에 안간힘을 쓰는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미 보편화된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을 위한 세계 각 국의 이같은 몸부림은 당연한 현상으로 볼 수 있지만 `새로운 에너지를 개발하기 위해 막대한 돈을 투자하고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기업들의 개발을 억제하고 소비행태를 바꾸는 방법' 이외에 자원의 순환율을 높이는 것이 훌륭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특히 자원 빈국이면서도 에너지소비량 세계 10위, 온실가스 배출량 세계 9위의 에너지 다소비 국가인 우리나라로써는 보다 적극적인 자원순환에 나설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재제조란 무엇인가=여기서 등장하는 개념이 바로 재(再)제조(Remanufacturing)라는 것입니다. 이 개념을 재활용(Recycling), 재사용(Reuse)과 비교하면 좀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재활용'은 기본적으로 원료의 재활용을 말합니다. 즉 사용가치가 떨어진 사용 후 제품을 분쇄하고 녹여서 원료상태로 재생하는 것입니다. 이 때 다시 제품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일반 제조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자원재생 방법 중 가장 먼 길을 돌아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재사용'은 사용한 제품을 별도로 가공하지 않고 단순히 세척해 바로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재활용과 반대로 자원재생 중 가장 가까운 길을 걷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재제조'는 바로 재활용과 재사용의 중간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사용 후 제품 혹은 부품을 해체해 세척 및 가공하고 다시 조립해 신제품과 유사한 상태로 만들어 재상품화하는 것입니다. 재활용에 비해 제품완성에 이르는 과정이 효율적이고 재사용에 비해 완성제품의 성능이 월등히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재제조의 자원절감 효과는 신상품 제조와 비교할 때 더욱 돋보입니다. 대표적인 재제조 제품인 자동차 교류 발전기의 경우 신상품 제조와 비교해 14% 정도의 에너지와 12% 정도의 재료 밖에 사용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종 완성품은 신상품과 비교해 거의 차이가 나질 않습니다.

물론 사용 후 제품을 세척하고 수리해 사용하는 `재사용'은 에너지와 재료 소모가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재사용'이 더 효율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수리 및 보수를 통한 재생으로는 단순히 제품의 수명을 조금 더 연장하는 수준에 그칠 뿐입니다. 이에 반해 `재제조'는 제품에 새로운 수명주기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즉 수명이 5년인 제품을 수리하면 단순히 2~3년 정도 더 쓰고 폐기하는 반면 재제조를 하게 되면 다시 5년이라는 수명을 새롭게 얻게 되고 나중에 또다시 동일한 수명주기를 갖게 되는 것입니다.

◇경제적ㆍ환경적 효과 매우 높아=재제조 분야의 창시자인 독일의 롤프 슈타인힐퍼(Rolf Steinhilper)는 지난 2005년 9월 세미나 참가차 한국을 방문한 자리에서 "한국도 재제조 산업을 적극 육성하는데 나서야 한다. 재제조 산업은 단순히 환경규제에 대한 방어적 대응 차원을 넘어서 가격경쟁력 확보 등 냉혹한 시장 메커니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길"이라며 재제조의 중요성을 설파한 적이 있습니다.

재제조를 통한 경제적, 환경적 효과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갈수록 원유공급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고 최근 국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있어 에너지 및 원자재 소비절감의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 대기환경 보전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폐기물 처리의 어려움도 증대되고 있습니다. 또 EU를 중심으로 한 제품 환경규제가 새로운 비관세 무역장벽으로 대두되면서 이에 대한 대응수단으로써 재제조의 필요성을 한층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자원순환형 재제조 산업을 활성화시킨다면 에너지 및 자원을 신제품 생산에 비해 80~90%까지 절감할 수 있으며, 신규 고용창출 효과와 수출산업으로써의 발전 가능성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국가청정지원센터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 엔진부품의 경우 사용 후 연간 발생량이 1만톤에 달하는데 이 가운데 재제조 능력은 1일 10명 투입 기준으로 500㎏에 달하며 고용창출 효과도 연간 660명에 달합니다. 신제품 제조와 달리 해체, 세척 등 자동화가 어려운 부분이 많아 고용효과가 높기 때문입니다.

국내 휴대전화기의 경우에도 재제조 수량을 300만대로 가정할 때 연간 이익예상액은 약 1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토너 카트리지의 경우 수입대체 효과는 물론 에너지 및 자원은 원제품에 비해 80% 이상 절약되고 재제조 제품 생산을 통해 연간 150만~200만개 이상의 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습니다.

국가청정지원센터의 강홍윤 박사는 "천연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자원의 효율적 사용은 산업 경쟁력은 물론 국가 경쟁력과도 직결되는 것"이라며 "그러나 일부 기업의 인식 부족과 법적 제도적 미흡, 기술부족 등으로 인해 재제조 산업이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며 안타까움을 표하고 있습니다.

Leverage

이용수단
수단으로서 이용하다/활용하다

* Leverage Google search technology.
* Google 검색 기술을 활용합니다

Don't worry. Palmer will be dead by the end of the day, just as we agreed.
팔머는 약속대로 오늘 안으로 죽을 겁니다
How?
어떻게?
We still have Bauer's family as leverage.
바우어 가족을 아직 잡고 있어요
We'll find Bauer and use him just like we did before.
바우어를 찾아 전처럼 이용할 겁니다
If plan A doesn't work, you should have a plan B, not plan A recycled.
A 계획이 잘못 됐으면 B 계획을 세워야지, 다시 A를 반복하다니
Like I said, we still have his family.
말씀 드렸듯이 아직 바우어 가족을 잡고 있어요
If we sit tight, there's a good chance Bauer will find us.
앉아서 기다리면 바우어가 찾아올 겁니다
Then we'll make him the scapegoat just as before.
그럼 그 놈을 이용하면 돼요
My brother wants me to assess the situation personally.
I land in half an hour.
내 동생은 내가 직접 해결하기를 바래 30분 후에 도착하네

Analogy

N.
a similarity between two different objects.

He illustrated an analogy between the fruit production of plants to the fruits of living a spiritual life.

2009년 10월 13일 화요일

Paradox

역설, 모순된 설

At sometime in our lives, all of us discover the truth of the ancient paradox that by giving freely to others, we gain more for ourselves.
우리 인생에서 남에게 풍부히 줌으로써 언젠가는 우리자신을 위해 더 많이 얻게 된다는 옛날의 역설이 참됨을 우리 모두가 알게 된다.

1 역설(逆說), 패러독스 《모순되어 보이나 실제로는 옳은 설》
2 기설(奇說);자가 당착의 말;모순된 일[말, 사람]
3 세간의 통설에 반(反)하는 의견[사고방식, 말]

Burgeoning

싹트기 시작한, 신흥의, 자라나는

burgeon 삭이 트다, 눈이 나오다; 성장하다, 발전하다.

burgeon 싹(bud), 새싹(shoot), 싹트다, 새싹이 나다, 움트다, 뻗어나가다, 갑자기 발전하다, 급성장하다

Predicate

n.
1【문법】 술부, 술어(cf. SUBJECT)
2【논리】 빈사(賓辭)
3【철학】 속성
4【컴퓨터】 술어
━ a.
1 【문법】 술부[술어]의
a predicate adjective 서술 형용사(보기:He is dead./I made him happy.)
a predicate noun 서술 명사(보기: He is a fool./I made him a servant.)
2 단정하는, 서술하는
━ [] vt.
1 단정[단언]하다(affirm), 선언[공언]하다
《predicate+that 절》 《predicate+목+to be》 We predicate of the rumor that it is groundless.=We predicate the rumor to be groundless. 우리는 그 풍문이 근거 없는 것이라고 단정한다.
2 속성을 나타내다 《about, of》;<어떤 근거에> 입각시키다(found), (말·행위 따위의) 기초를 두다 《on, upon》
《predicate+목+전+명》 We predicate faithfulness of a dog. 충실을 개의 속성으로 친다.
My advice is predicated on my experience. 나의 충고는 나의 경험에 입각한 것이다.
3【문법】 주어에 대하여 서술하다
4 암시하다, 내포하다, 함축하다
Her apology predicates a change of attitude. 그녀의 사과는 태도의 변화를 내포하고 있다.
━ vi. 단정[단언]하다
▷ prediction n.;prdicative a.

akin

혈족의, 동족의, 같은, 비슷한

akin to 같은 종류의. 유사한.

Pity is akin to love.
동정은 곧 애정. ( akin 은 " 유사한, 같은 종류의 " 의 뜻이다.)

Construct

1 건조[구조]물;구성체
2【심리】 복합 심상[개념]
3【언어】 구성체
4【논리】 구성 개념
5 구성주의 작품

1 : something constructed by the mind: as a : a theoretical entity b : a working hypothesis or concept
2 : a product of ideology, history, or social circumstances

Modality

양식(樣式) a form;a mode;a pattern;a manner;a style

2009년 10월 12일 월요일

Pigment

pigment [p´igm∂nt] 그림물감, 색소

palette 팔레트 (board on which painter mixes pigments)
At the present time, art supply stores are selling paper palettes which may be
discarded after use.

Conducive

conducive [k∂ndj´u:siv] 도움이 되는, 이바지하는, ~ness

be conducive to -에 이바지하다.

Our economics teacher emphasized that a policy that is beneficial to some individuals and groups may not be conducive to the economic health of the entire nation.
우리 경제학 선생님은 몇몇 개인이나 집단에게 유익한 정책이 국가 전체 경제의 건전에는 이롭지 못할 수가 있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Rest and proper diet are conducive to good health.
휴식과 적절한 식사는 건강에 도움이 된다.

2009년 10월 11일 일요일

Pesky

troublesome, vexatious

Debrief

1 : to interrogate (as a pilot) usually upon return (as from a mission) in order to obtain useful information
2 : to carefully review upon completion

2009년 10월 7일 수요일

heave

1 <무거운 것을> (들어)올리다(lift)
heave a heavy ax 무거운 도끼를 들어올리다
2 <가슴을> 울렁이게 하다, 부풀게 하다, 불룩하게 하다(swell)
heave one’s chest 가슴을 울렁이게 하다
3 <탄성(歎聲)·앓는 소리를> 괴로운 듯이 내다, 발하다;<한숨을> 쉬다
heave a sigh 한숨쉬다
4【항해】 <닻을> 밧줄로 끌어올리다[끌다];<배 등을> 엔진 등으로 움직이다;<밧줄을> 잡아[끌어]당기다, 당겨들이다
heave an anchor 닻을 감아 올리다
《heave+목+부》 heave a ship about 배를 급히 돌리다
5 던지다, 내던지다(throw) 《at》
《heave+목+부》 The sailor hove[heaved] the anchor overboard. 그 선원은 닻을 바다로 던졌다.
《heave+목+전+명》 heave a stone through a window 창밖으로 돌을 던지다
She heaved a bucket at him. 그녀는 그에게 버킷을 던졌다.
6 토하다, 게우다
heave one’s breakfast 아침 먹은 것을 토하다
7【지질】 <지층·광맥을> 수평으로 전위(轉位)시키다, 엇물리게 하다

Soil

1 더럽히다, 때묻히다, 오손(汚損)하다
2 <명예 등을> 더럽히다, (도덕적으로) 타락하다
3 거름주다
1 더러워지다, 때가 묻다
2 《비유》 타락하다

Unwieldy

(무거워서) 다루기 힘든, 부피가 큰, 너무 뚱뚱한;꼴 사나운, 거대한;비실제적인

Firefighter/paramedics commented that they had sometimes
used a slide board device that could deal with these
last two issues when transferring a patient in a nursing
home or a hospital, but that the device they were familiar
with was too large and unwieldy for use outside of those
institutional settings where storage was not an issue.

2009년 10월 5일 월요일

Dispute

1 논쟁하다 《with》, (…에 대해) 논의하다 《about, on》(⇒ discuss [유의어])
《dispute+전+명》 dispute with one’s boss about[on] the project 상사와 그 기획에 대해서 논쟁하다
2 (…에 대해) 반론하다, 이의를 말하다 《against》

━ vt.
1 논하다, 토의하다(discuss);논박하다
《dispute+wh. 절》 dispute whether the decision is right 그 결정이 옳은지 어떤지에 대해 논의하다
2 <사실 등에> 의심을 품다, 이의를 제기하다
3 항쟁[저항, 저지]하다(oppose)
dispute the enemy’s advance 적의 전진을 저지하다
4 <우위(優位)·승리 등을> 겨루다, 얻으려고[잃지 않으려고] 다투다(contend for)
dispute every inch of ground 한치의 땅을 다투다
disputed territory (영유권을 둘러싼) 분쟁 지역
《dispute+목+전+명》 dispute a prize with a person …와 상을 다투다
5 논쟁하여 …하게 하다
《dispute+목+전+명》 dispute a person into agreement 논쟁하여 …을 동의하게 하다
《dispute+목+부》 dispute a person down …을 논파(論破)하다


━ n.
1 (감정적인) 논쟁, 논의(⇒ argument [유의어])
2 분쟁, 쟁의, 항쟁;언쟁, 싸움(quarrel) 《about, on》
a border dispute 경계[국경] 분쟁
a labor dispute 노동 쟁의
beyond[past, without, out of] (all) dispute 논쟁[의문]의 여지없이, 분명히
in[under] dispute 논쟁 중의[에], 미해결의[로]:a point in dispute 논쟁점

Transference

1 [U.C] 옮김, 옮기기;이전, 이동;운반;양도, 매도(賣渡)
2 【정신의학】 전이(轉移)

beneficent

a. 자선심이 많은, 선행을 행하는, 기특한, 인정 많은;유익한, 도움이 되는 《to》

A beneficent person or thing helps people or results in something good.

2009년 10월 4일 일요일

Ingenuity

1 발명의 재주, 고안력, 독창력
2 정교, 교묘함
a device of great ingenuity 비상하게 정교한 장치
3 [보통 pl.] 교묘한 장치[발명품]


There are many things in nature which defy human ingenuity to imitate them. (출처: 두산 동아) 현대 미국 중급 자연계에는 인공으로 모방할 수 없는 것이 많다

That's why I think The Empire State Building stands today as such a testament to engineering and people's ingenuity. (출처: YBM) 현대 미국 중급 이동 그 때문에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은 오늘날 인류의 공학 설계와 독창력에 대한 위대한 입증이 된다고 생각한다